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1

[Intellij]인텔리제이 똑같은 단어 일괄 수정 인텔리제이를 사용할때 특정 변수명을 한번에 바꾸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때 일괄수정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특정 파일의 단어 일괄 수정윈도우 단축키: ctrl + r맥 단축키: command + r  단축키를 누르면 위와같은 창이 뜨는데 위쪽 검색창에는 검색할 단어 아래 검색창에 검색된 단어들을 어떤 단어로 바꿀지 쓰면 된다.Cc: 선택하면 대소문자 구분하여 검색W: 선택하면 단어 단위로 검색 예를 들어 이 옵션을 쓰면 a라고 쳐도 apple이라는 단어가 검색 되지 않는다.숫자/숫자(사진에서는 8/11): 분모가 전체 검색된 단어수이고 분자가 검색된 단어중 몇번째 단어가 선택 되어 있는지 이다.↑: 위쪽 단어로 이동(방향키나 엔터 대신 쓸수 있음)↓ : 아래쪽 단어로 이동(방향키 대신 쓸 수 있음)repl.. 2023. 11. 2.
장고(Django) ERD 자동 생성 방법 1. 장고 ERD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 pip install django-extensions 2. 프로젝트의 setting.py에 있는 INSTALLED_APPS에 django_extensions를 넣어야 한다. INSTALLED_APPS = [ # 다른 코드들... 'django_extensions, ] 3. erd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ython manage.py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가상환경을 실행해야 한다. source [본인이 설정한 가상환경명]/bin/activate 4. python manage.py를 사용하기 위하여 cd로 manage.py경로로 이동한다. cd [프로젝트의 manage.py가 있는 경로] 5.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복붙 하면 manage.p.. 2023. 10. 24.
리눅스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파일, 디렉토리 권한 확인하기 ls -l 파일 권한 변경 사용자별 권한 바꾸기 #사용자별 권한 바꾸기 chmod (권한 설정해줄 대상)(권한 추가인지 제거인지)(어떤 권한을 수정힐지) (권한 수정할 파일) chmod g+w test.jpeg # 그룹에 읽기 권한 주기 chmod u-r test.jpeg #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 뺏기 권한 설정할 대상: u(사용자), g(그룹), o(다른 사용자), a(모두) 권한 추가 인지 제거인지: +(추가), -(제거) 어떤 권한을 수정할지: r(읽기), w(쓰기), x(실행) 여러 사용자 한번에 권한 변경하기 chmod (사용자 권한 숫자합)(그룹 권한 숫자합)(다른 사용자 권한 숫자합) (권한 수정할 파일) chmod 644 test.jpeg #test.jpeg파.. 2023. 10. 17.
TCP와 UDP 차이 TCP/UDP 비교 1. 연결지향성 vs 비연결성 TCP -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전에 먼저 연결을 하고 데이터 전송이 완료 됐을 경우 연결을 해제 - 연결지향성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UDP - 비연결성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 과정 없음 - 데이터 전송이 더 간단하고 빠름(연결 과정 없기 때문) 2. 데이터 전송 순서 TCP - 데이터 전송 순서를 보장 - 보낸 순서대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음 UDP - 데이터 전송 순서 보장 없음 -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음 3. 신뢰성 TCP - 신뢰성이 높음 - 데이터 전송 중 손실 또는 에러가 발생하면 재전송 수행 - 안정적 전송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 ex) 체크섬, 슬라이딩 윈도우, low Start, Con.. 2023. 10. 17.
네트워크 세션과 웹 세션의 차이 네트워크 공부를 하면서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 여러 용어가 사용되어 헷갈릴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비슷한 용어라도 네트워크 분야와 다른 분야에서는 약간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추가로 혼란스러울 수 있다. 최근에 네트워크 교육을 받으면서 세션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예전에 웹 개발 시 세션을 다뤄본 경험이 있어서 그때의 기억을 공유했더니, 네트워크에서 말하는 세션의 개념과 웹에서 말하는 세션의 개념이 조금 다르다고 말씀 해주셨다. 네트워크 세션과 웹 세션의 차이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세션은 보통 통신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보면 되지만 웹에서의 세션은 로그인 정보등을 사용자와 웹서버간의 인터랙션을 유지 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 (더 쉽게 말하.. 2023. 10. 17.
핑 테스트 중 핑이 안받아지는 문제 스위치 장비에 노트북 두대를 연결하여 같은 VLAN에서 핑테스트를 하는데 노트북 두대다 노트북 -> 스위치로는 핑이 가는데 노트북-> 노트북으로는 핑이 날아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여러번 확인해봐도 EVE-NG에서 시뮬레이션을 해봤을때랑 스위치와 노트북의 설정이 동일 했고, 스위치로는 정상적으로 핑이 날아가는걸 봐서는 정상적으로 연결 되어있는 것 같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에는 없지만 실제 노트북에는 존재하는 무언가가 핑을 막고있구나 라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겪은 문제의 원인을 알아보기에 앞서 만약 핑이 안받아지는 문제가 존재 한다면 아래 항목들을 확인해봐야 한다. 핑이 안받아지는 원인 1. IP주소의 충돌 통신을 하려는 두 노트북이 동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있다면 아이피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에 아이피를 수.. 2023.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