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7 Arista 스위치 장비 기본 컨피그 running-config: 현재 컨피그 내용startup-config: 장비 시작했을때 적용되는 컨피그 컨피그 시작 컨피그에 저장1.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2.write memory 컨피그 다른 컨피그 파일에 저장copy running-config flash:[파일명] 시작 컨피그 불러오기copy startup-config running-config 시작 컨피그 확인show startup-config 현재 컨피그 확인show running-config 포트 상태 확인show interfaces status 장비 초기화delete flash:startup-configdelete flash:zerotouch-configreload now vlan 관련 명령어 conf.. 2024. 12. 12. Arista 스위치 명령어 - vlan 관련 명령어는 끝까지 안쳐도 곂치는 명렁어가 없다면 실행이 됩니다 configure terminal -> conf t vlan -> vl exit -> ex address -> addr 이런식으로 입력 하면 더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1. vlan 정보 확인 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Et45 2. vlan 생성 SW#configure terminal #줄여서 conf t로 쳐도 된다 SW(config)#vlan 1000 #vlan 1000을 생성 SW(config)#name example_vlan .. 2023. 12. 12. 리눅스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파일, 디렉토리 권한 확인하기 ls -l 파일 권한 변경 사용자별 권한 바꾸기 #사용자별 권한 바꾸기 chmod (권한 설정해줄 대상)(권한 추가인지 제거인지)(어떤 권한을 수정힐지) (권한 수정할 파일) chmod g+w test.jpeg # 그룹에 읽기 권한 주기 chmod u-r test.jpeg #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 뺏기 권한 설정할 대상: u(사용자), g(그룹), o(다른 사용자), a(모두) 권한 추가 인지 제거인지: +(추가), -(제거) 어떤 권한을 수정할지: r(읽기), w(쓰기), x(실행) 여러 사용자 한번에 권한 변경하기 chmod (사용자 권한 숫자합)(그룹 권한 숫자합)(다른 사용자 권한 숫자합) (권한 수정할 파일) chmod 644 test.jpeg #test.jpeg파.. 2023. 10. 17. TCP와 UDP 차이 TCP/UDP 비교 1. 연결지향성 vs 비연결성 TCP -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전에 먼저 연결을 하고 데이터 전송이 완료 됐을 경우 연결을 해제 - 연결지향성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UDP - 비연결성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 과정 없음 - 데이터 전송이 더 간단하고 빠름(연결 과정 없기 때문) 2. 데이터 전송 순서 TCP - 데이터 전송 순서를 보장 - 보낸 순서대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음 UDP - 데이터 전송 순서 보장 없음 -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음 3. 신뢰성 TCP - 신뢰성이 높음 - 데이터 전송 중 손실 또는 에러가 발생하면 재전송 수행 - 안정적 전송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 ex) 체크섬, 슬라이딩 윈도우, low Start, Con.. 2023. 10. 17. 네트워크 세션과 웹 세션의 차이 네트워크 공부를 하면서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 여러 용어가 사용되어 헷갈릴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비슷한 용어라도 네트워크 분야와 다른 분야에서는 약간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추가로 혼란스러울 수 있다. 최근에 네트워크 교육을 받으면서 세션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예전에 웹 개발 시 세션을 다뤄본 경험이 있어서 그때의 기억을 공유했더니, 네트워크에서 말하는 세션의 개념과 웹에서 말하는 세션의 개념이 조금 다르다고 말씀 해주셨다. 네트워크 세션과 웹 세션의 차이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세션은 보통 통신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보면 되지만 웹에서의 세션은 로그인 정보등을 사용자와 웹서버간의 인터랙션을 유지 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 (더 쉽게 말하.. 2023. 10. 17. 핑 테스트 중 핑이 안받아지는 문제 스위치 장비에 노트북 두대를 연결하여 같은 VLAN에서 핑테스트를 하는데 노트북 두대다 노트북 -> 스위치로는 핑이 가는데 노트북-> 노트북으로는 핑이 날아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여러번 확인해봐도 EVE-NG에서 시뮬레이션을 해봤을때랑 스위치와 노트북의 설정이 동일 했고, 스위치로는 정상적으로 핑이 날아가는걸 봐서는 정상적으로 연결 되어있는 것 같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에는 없지만 실제 노트북에는 존재하는 무언가가 핑을 막고있구나 라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겪은 문제의 원인을 알아보기에 앞서 만약 핑이 안받아지는 문제가 존재 한다면 아래 항목들을 확인해봐야 한다. 핑이 안받아지는 원인 1. IP주소의 충돌 통신을 하려는 두 노트북이 동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있다면 아이피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에 아이피를 수.. 2023. 10. 13.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