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hub4

[git] Git + GitHub 기초적인 사용법 예전에 git 쓰면서 좀 헷갈렸던 포인트들은 정리해서 업로드한적이 있었는데기본적인 사용방법은 업로드 한적이 없어서이번 기회에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깃에 대해 글을 쓰기에 앞서서 처음 깃을 접하는 사람들은 어떤 포인트가 가장 어렵게 느껴질까 생각해보았는데요사용법을 알기전 git에 대한 개념부터 제대로 잡고 가기 위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포인트들도 정리해보았습니다Git이란?정의: 깃(Git)은 소스 코드의 변경 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입니다.역할: 코드를 언제든지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해도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Git을 사용하는 이유변경 이력 추적누가, 언제, 무엇을 수정했는지 기록을 남길 수 있음실수 .. 2025. 4. 5.
[git] Git Pull 시 rebase와 merge의 차이 merge방식:기본 동작. 원격 브랜치의 커밋을 현재 로컬 브랜치에 병합병합 커밋(Merge Commit)이 생성병합의 히스토리를 명확하게 유지특징:원래의 커밋 히스토리를 그대로 유지히스토리가 복잡하게 보일 수 있음사용 예시:git pull origin --merge#기본동작이므로 옵션을 안달아도 된다.git pull origin  적합한 상황:히스토리의 병합 작업을 명확히 기록하고 싶을 때협업 중 병합 커밋 기록을 통해 컨텍스트를 유지하고자 할 때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하여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경우깃로그상황main 브랜치에서 로컬에서 작업을 진행하여 커밋 A, B 생성.원격 main 브랜치에서 커밋 C가 추가됨.git pull --merge 실행. rebase방식:원격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현재 브랜.. 2024. 12. 3.
[git] revert와 rebase의 차이 / commit 되돌리기 git revert설명특정 커밋을 되돌리기 위한 명령어되돌리는 내용이 새로운 커밋으로 기록됨기존의 커밋 기록은 변경되지 않음협업 시 기록을 유지하면서 특정 변경 사항만 되돌릴 때 유용사용 시나리오협업 중일 때: 변경 내역을 되돌려야 하지만 Git 기록을 유지하고 충돌을 피하고 싶을 때.배포된 코드에서: 안전하게 특정 기능을 롤백하고 싶을 때.장점기존 커밋 기록을 보존하여 투명한 기록 유지.다른 팀원과의 충돌 위험이 낮음.옵션옵션설명예시-n 또는 --no-commitrevert 결과를 Staging Area에만 적용하고 커밋하지 않음git revert -n -m 또는 --mainline병합 커밋을 되돌릴 때 부모 커밋을 지정 (1번째 부모: 1, 2번째 부모: 2 등)git revert -m 1 --edi.. 2024. 12. 3.
깃 커밋 메세지 규칙 커밋 메세지는 집단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쓰이고 있는데요.커밋 메세지을 작성하는 이유와 구성 방법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커밋 메세지 규칙을 정의하는 이유 일관성 유지일관된 형식을 사용하면 커밋 메시지를 읽는 사람이 각 커밋의 목적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eat은 새로운 기능 추가, fix는 버그 수정 등으로 구분하면 커밋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협업 효율성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커밋 메시지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메시지가 일관되게 작성되면 다른 개발자들이 작업 내역을 이해하는 데 드는 시간이 줄어들고, 수정 사항을 추적하는 데도 유리합니다. 버전 관리 용이성버전 관리에서 커밋 메시지는 변경 이력을 추적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기능을 추가.. 2024.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