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ls *usb*라는 명령어를 실행 시키면 usb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파일을 나열해준다.
그러면 cu로 시작하는 파일명과 tty로 시작하는 파일 명이 뜨는데
여기서 cu는 시리얼 통신에 사용되는 컨트롤러를 의미하고 tty는 시리얼 장치의 터미널을 의미한다.
~ % cd /dev # dev디렉토리로 이동 (root 아래에 있음)
dev % ls *usb* # usb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파일 나열
cu.usbserial-FTB6SPL3 tty.usbserial-FTB6SPL3
screen [tty.로 시작하는 파일명] [시리얼 통신 속도]를 통해 터미널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시리얼 통신 속도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를 비트 단위로 나타내며, 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를 나타내는데, 장비마다 지원하는 속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통신할 장비의 사양을 고려하여 적절한 속도를 선택해야 한다.)
screen tty.usbserial-FTB6SPL3 115200
참고로 윈도우에서는 PuTTY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시리얼 통신을 할수 있다고 한다.
댓글